'사이'는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학생들이 만드는 학생저널입니다. 제2호 PDF 다운로드 특집: 몸 생물학적인 몸을 위한 변론 : 과학기술학으로 트랜스젠더 말하기 윤수민 드러난 피부에 나타난 것들 : 한국 의료계의 탈모에 관한 논의와 젠더 위계 민병웅 도시, '몸'의 확장 : 하수 속 바이러스가 그리는 도시 신진대사(urban metabolism) 황정하 특집 대담 과학학과 몸 연구 : 라운드테이블 구재령 ・김연화・ 민병웅 ・조희수 ・최석현 일반논문 자율규제의 유연성 평가에 대한 논의 원영훈 동문기고 혁신학의 다학제적 성격이 강점이 되려면 김석관 3가지 연구 주제 조숙경 출판 편집자부터 과학 도서 번역가까지 조장현(박초월) 서평 다시 한번, 가치의 모든 것을 고민하다 : 마리아나 마추카토, 『가치의 모든 것』 강동협 이론 밖의 현실 : 이시윤, 『하버마스 스캔들』 황록연 부록 동문소식 숨은그림찾기
특집: 몸 생물학적인 몸을 위한 변론: 과학기술학으로 트랜스젠더 말하기 ● 윤수민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석사과정 stardust29@snu.ac.kr 2010년대 후반 이후 한국 사회에서는 ‘페미니즘’이라는 키워드가 급부상하였으며, 그 이후 온라인 여초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젊은 세대 페미니스트들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온라인 공간에서는 ‘래디컬 페미니즘’, ‘리버럴 페미니즘’, ‘교차성 페미니즘’ 등의 구분이 통용된다. 그 중 ‘래디컬 페미니즘’과 나머지 페미니즘을 구분하는 기준은 트랜스젠더/퀴어에 대한 입장 차이에 있다.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은 인터넷 공간에서 트랜스 혐오 담론을 적극적으로 주도한다. 그들은 ‘생물학적인 여성’만이 페미니즘의 주체가 될 수 있고, 트랜스 여성은 ‘생물학적 여성’이 아니라고 주장한다(이효민, 2020: 226). ‘생물학적 여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은 여성과 비여성을 가를 수 있는 ‘생물학’이라는 뚜렷하고 객관적인 잣대가 있다고 전제한다. 하지만 생물학은 객관적이거나 고정적이지 않다. 트랜스젠더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의 논의는 ‘생물학’에 대한 잘못된 전제를 하고 있다. 우리는 생물학이 무엇인지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페미니즘과 트랜스젠더 이론, 그리고 과학기술학의 접점에서 우리는 생물학에 관한 더 다양한 논의를 할 수 있다.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는 자연과 인공의 이분법을 비판하며, 모든 생물학에는 인간이 개입함을 보여준다. 아네마리 몰(Annemarie Mol)은 의료 실천의 영역에서 몸이 작동하는 방식을 분석하며, 몸을 단일하게 정의할 수 없다고 한다. 이 글에서는 해러웨이와 몰의 논의, 그들의 논의를 발전시킨 사라 프랭클린(Sara Franklin)과 라탐(J. R. Latham)의 연구, 그리고 의료적 실천의 현장에 관한 과학기술학 연구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물학적인 몸’이라는 용어가 더 다양한 몸을 변호할 수 있음을 드러내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