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 :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학생저널 제2호 (2024. 06.)

'사이'는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학생들이 만드는 학생저널입니다.  제2호 PDF 다운로드 특집: 몸 생물학적인 몸을 위한 변론 : 과학기술학으로 트랜스젠더 말하기 윤수민 드러난 피부에 나타난 것들 : 한국 의료계의 탈모에 관한 논의와 젠더 위계 민병웅 도시, '몸'의 확장 : 하수 속 바이러스가 그리는 도시 신진대사(urban metabolism) 황정하 특집 대담 과학학과 몸 연구 :  라운드테이블 구재령 ・‬김연화・‬ 민병웅 ・조희수 ・‬최석현‬ 일반논문 자율규제의 유연성 평가에 대한 논의 원영훈 동문기고 혁신학의 다학제적 성격이 강점이 되려면 김석관 3가지 연구 주제 조숙경 출판 편집자부터 과학 도서 번역가까지 조장현(박초월) 서평 다시 한번, 가치의 모든 것을 고민하다 : 마리아나 마추카토, 『가치의 모든 것』 강동협 이론 밖의 현실 : 이시윤,   『하버마스 스캔들』 황록연 부록 동문소식 숨은그림찾기
최근 글

생물학적인 몸을 위한 변론: 과학기술학으로 트랜스젠더 말하기 (윤수민)

특집: 몸 생물학적인 몸을 위한 변론: 과학기술학으로 트랜스젠더 말하기 ● 윤수민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석사과정  stardust29@snu.ac.kr 2010년대 후반 이후 한국 사회에서는 ‘페미니즘’이라는 키워드가 급부상하였으며, 그 이후 온라인 여초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젊은 세대 페미니스트들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온라인 공간에서는 ‘래디컬 페미니즘’, ‘리버럴 페미니즘’, ‘교차성 페미니즘’ 등의 구분이 통용된다. 그 중 ‘래디컬 페미니즘’과 나머지 페미니즘을 구분하는 기준은 트랜스젠더/퀴어에 대한 입장 차이에 있다.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은 인터넷 공간에서 트랜스 혐오 담론을 적극적으로 주도한다. 그들은 ‘생물학적인 여성’만이 페미니즘의 주체가 될 수 있고, 트랜스 여성은 ‘생물학적 여성’이 아니라고 주장한다(이효민, 2020: 226). ‘생물학적 여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은 여성과 비여성을 가를 수 있는 ‘생물학’이라는 뚜렷하고 객관적인 잣대가 있다고 전제한다. 하지만 생물학은 객관적이거나 고정적이지 않다. 트랜스젠더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의 논의는 ‘생물학’에 대한 잘못된 전제를 하고 있다. 우리는 생물학이 무엇인지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페미니즘과 트랜스젠더 이론, 그리고 과학기술학의 접점에서 우리는 생물학에 관한 더 다양한 논의를 할 수 있다.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는 자연과 인공의 이분법을 비판하며, 모든 생물학에는 인간이 개입함을 보여준다. 아네마리 몰(Annemarie Mol)은 의료 실천의 영역에서 몸이 작동하는 방식을 분석하며, 몸을 단일하게 정의할 수 없다고 한다. 이 글에서는 해러웨이와 몰의 논의, 그들의 논의를 발전시킨 사라 프랭클린(Sara Franklin)과 라탐(J. R. Latham)의 연구, 그리고 의료적 실천의 현장에 관한 과학기술학 연구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물학적인 몸’이라는 용어가 더 다양한 몸을 변호할 수 있음을 드러내고자

드러난 피부에 나타나는 것들: 한국 의료계의 탈모에 관한 논의와 젠더 위계 (민병웅)

특집: 몸 드러난 피부에 나타나는 것들: 한국 의료계의 탈모에 관한 논의와 젠더 위계 민병웅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박사과정  woong2woongc@gmail.com 들어가며 매일 아침 머리를 말리면서 머리카락이 얼마나 흩날리며 떨어져 있는지 보게 된다. 화장실 청소 중 떨어져 있는 머리카락들을 치우면서 하루에도 수많은 머리카락이 내 몸과 분리되고 있음에 알 수 없는 불안감을 느끼기도 한다. 반대로 누군가는 ‘안도’할 수도 있겠다. 본인 머리카락이 굵고 풍성하고 집안에 머리가 벗겨진 사람이 없다면, 굳이 머리를 싸매가며 시중에서 파는 수많은 탈모 예방 샴푸, 보조제 등을 신중히 고를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와 불안은 누구에게나 있는 머리카락이 없어져서 느끼는 ‘외형적 위화감’을 걱정하는 자연스러운 정서일까? 구약성서 열왕기에 엘리사가 어린아이에게 탈모로 놀림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실려있음을 생각을 해보면 탈모에 관한 사람들의 고민은 꽤 오래된 것 같긴 하다. 고려시대 문인 이규보(1168-1241)가 탈모에 관해 한탄하며 남긴 시, 토머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가 자신의 벗겨진 머리로 인해 벌레 물림으로 고생했다는 이야기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역을 막론하고 탈모에 관한 고민은 퍼져 있었다. 하지만 과거 탈모에 관한 표상은 수치스러움, 부끄러움, 늙고 병약함 등 부정적인 것들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한때 대머리는 연륜의 상징이자, 존경할 만한 어른의 이미지를 상징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이처럼 다양했던 탈모에 관한 단상들은 오늘날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어느 순간 탈모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한 탈모에 관한 리뷰 논문에 따르면, 탈모를 다루는 의학 연구들은 대부분 탈모를 질병(disease)으로 정의하고 있다고 한다(Jankowski and Frith, 2017). 이 글은 탈모에 관한 과학학적 접근이 남성의 몸을 비롯한 여러 몸이 각기 다른 양상으로 젠더화하는 과

도시, '몸'의 확장: 하수 속 바이러스가 그리는 도시 신진대사(urban metabolism) (황정하)

특집: 몸 도시, '몸'의 확장: 하수 속 바이러스가 그리는 도시 신진대사(urban metabolism) 황정하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박사과정  hahahajungha@snu.ac.kr I. 도시가 살아있다 몸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먹고, 숨 쉬고, 소화하고, 배설한다. 생물학에서는 이처럼 생명체 안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변화를 ‘신진대사(metabolism)’라고 부르는데, 이는 몸 밖으로부터 섭취한 영양물질을 몸 안에서 분해하거나 합성해 생명 활동에 필요한 물질과 에너지를 생성하고, 필요하지 않은 물질은 몸 밖으로 배출하는 모든 과정을 일컫는다. 살아있는 유기체는 수백 단계로 구성된 일련의 효소 매개 화학 반응을 통해 몸의 구조를 유지하고, 성장시키며, 환경에 반응한다(Kornberg, 2024; Judge & Dodd, 2020). 신진대사는 흔히 무생물과 구분되는 생명 활동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지만, 이런 신진대사 개념을 생물의 몸 밖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도 있다. 도시생태학의 ‘도시 신진대사(urban metabolism)’ 개념이 그것이다. 도시 신진대사는 도시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생물의 신진대사 개념을 적용해 도시 내 물질과 에너지의 흐름을 설명하는 접근법이다. 도시 신진대사는 도시가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생산과 소비의 시스템, 즉 물질과 에너지를 흡수하고 변환해 저장하거나 폐기물로 배출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이런 관점에서는 물, 음식, 연료를 ‘투입(input)’으로, 하수, 고형 쓰레기, 공기오염을 ‘산출(output)’로 정의해, 도시라는 하나의 거대한 몸으로 유입되고 그로부터 방출되는 다양한 물질 및 에너지의 흐름과 변형을 추적함으로써 도시 신진대사를 분석한다(Sahely, Dudding, & Kennedy, 2003; Wolman, 1965; 이성희·김정곤, 2013). 본 논문은 이처럼 도시라는 거대한 몸의 작동도 상호 연결된 부분들 간 일련의 상호작용을 통해 분석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