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논문 자율규제의 유연성 평가에 대한 논의 원영훈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박사과정 powhy123@snu.ac.kr I. 서론 전자상거래의 폭발적인 성장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술이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Deloitte, 2021). 특히, 코로나 19를 거치며 소비자들의 구매가 디지털 서비스를 중심으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디지털 플랫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경제적 측면에서 디지털 플랫폼은 전체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영향력을 제고하는 ‘네트워크 효과’와 이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로의 이동이 어려워지는 ‘자물쇠 효과(lock-in effect)’로 인해 독점적 지위를 갖게 된다. 이러한 속성들은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부정적으로 형성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안준모, 2022). 최근 한국 사회에서도 디지털 플랫폼의 부정적인 영향들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관련 의원 발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는 등 플랫폼에 대한 규제가 요청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산업과 규제 방식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실증조사 없이 해외동향을 따라가는 것은 오히려 플랫폼 산업의 발전과 이용자 보호를 저해할 수 있으며(김현경, 2021), 플랫폼이 지닌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기존 전통산업에 적합한 규제가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는 한계도 지적된다(안준모, 2022) 대안으로 2022년 5월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 중 하나로 디지털 플랫폼 산업에 대한 자율규제 도입을 제안하였다. “범부처 플랫폼 정책협의체”와 “디지털 플랫폼 자율기구 법제도 T/F”에서 자율규제의 법적 근거와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2023년 5월에는 민간이 주도하는 플랫폼 서비스의 투명성 제고와 상생 원칙을 발표하였다(이나연, 2023). 하지만 법적 규제의 입법을 눈앞에 두고 의도적으로 자율규제를 기획한다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이희정, 2022), 각종 이...